법구경-호희품(好喜品)
- 지극 정성으로 참회할 줄 알면 -
- 오히려 뭇 사람의 사랑을 받으리 -
호희품(好喜品) ②
貪法戒成 탐법계성
至誠知慙 지성지참
行身近道 행신근도
爲衆所愛 위중소애
오히려 법을 탐하고 계율 성취해
지극 정성으로 참회할 줄 알며
몸 가짐이 도에 까까우면
뭇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리
欲態不出 욕태불출
思正乃語 사정내어
心無貪愛 심무탐애
必截流渡 필절류도
도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고
올바름을 생각해 말을 다스려
마음에 탐욕 갈애 없다고하면
애욕의 흐름끊고 열반에 이른다
譬人久行 비인구행
從遠吉還 종원길환
親厚普安 친후보안
歸來喜歡 귀래희환
그것은 마치 오래전에 길떠난 사람
먼길 좇아 무사히 돌아와서
친척과 벗들이 두루 편안하매
반갑고 기쁜 것과 같다
好行福者 호행복자
從此到彼 종차도피
自受福祚 자수복조
如親來喜 여친래희
복된 선행 언제나 즐기던이
이승에서 저승으로 건널갈때에
스스로 지은 복 제가 받나니
어버이를 맞아 기쁜 것과 같다
起從聖敎 기종성교
禁制不善 금제불선
近道見愛 근도견애
離道莫親 이도막친
거룩한 가르침을 좇아 일어나
선하지 않은일 금하여 억제하고
도에 다가감을 사랑하고
도를 떠난 이 가까이 말라
近與不近 근여불근
所住者異 소주자이
近道昇天 근도승천
不近墮獄 불근타옥
도에 다가감과 멀어지는 것
그가 머무는 곳 서로 다르니
도에 다가간 이 하늘에 오르고
멀어진 이 지옥에 떨어진다
분노품(忿怒品) ①
忿怒不見法 분노불견법
忿怒不知道 분노불지도
能除忿怒者 능제분노자
福喜常隨身 복희상수신
분노하면 바른 법 보지 못하고
분노하면 바른 도 알지 못한다
분노를 능히 버릴 수 있는 이
복덕과 기쁨이 언제나 뒤따른다
貪음不見法 탐음불견법
憂癡意亦然 우치의역연
除음去癡者 제음거치자
其福第一尊 기복제일존
음욕을 탐하면 바른법 보지 못한다.
걱정많고 어리석은 마음도 그러하다
음욕과 어리석음 잘라버린 이
그 복이 제일 존귀하다
喪能自制 에능자제
如止奔車 여지분거
是爲善御 시위선어
棄冥入明 기명입명
성내는 마음 스스로 억제하길
내닫는 수레 멈추듯하면
그느 바로 훌륭한 조어장부
어둠에서 벗어나 밝음에 들리라
忍辱勝에 인욕승에
善勝不善 선승불선
勝者能施 승자능시
至誠勝期 지성승기
욕됨을 참아 성냄을 이기고
선한 행으로 악함을 이긴다
이기는 이 능히 베풀수있고
지극한 정성은 거짓 속임을 이긴다
不欺不怒 불기불노
意不多求 의불다구
如是三事 여시삼사
死則上天 사즉상천
속이지 않고 성내지 않고
마음으로 많은것 욕심내지 않으니
이와같은 세가지를 일삼으면
죽어서 곧 천상에 오른다
- 지극 정성으로 참회할 줄 알면 -
- 오히려 뭇 사람의 사랑을 받으리 -
호희품(好喜品) ②
貪法戒成 탐법계성
至誠知慙 지성지참
行身近道 행신근도
爲衆所愛 위중소애
오히려 법을 탐하고 계율 성취해
지극 정성으로 참회할 줄 알며
몸 가짐이 도에 까까우면
뭇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리
欲態不出 욕태불출
思正乃語 사정내어
心無貪愛 심무탐애
必截流渡 필절류도
도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고
올바름을 생각해 말을 다스려
마음에 탐욕 갈애 없다고하면
애욕의 흐름끊고 열반에 이른다
譬人久行 비인구행
從遠吉還 종원길환
親厚普安 친후보안
歸來喜歡 귀래희환
그것은 마치 오래전에 길떠난 사람
먼길 좇아 무사히 돌아와서
친척과 벗들이 두루 편안하매
반갑고 기쁜 것과 같다
好行福者 호행복자
從此到彼 종차도피
自受福祚 자수복조
如親來喜 여친래희
복된 선행 언제나 즐기던이
이승에서 저승으로 건널갈때에
스스로 지은 복 제가 받나니
어버이를 맞아 기쁜 것과 같다
起從聖敎 기종성교
禁制不善 금제불선
近道見愛 근도견애
離道莫親 이도막친
거룩한 가르침을 좇아 일어나
선하지 않은일 금하여 억제하고
도에 다가감을 사랑하고
도를 떠난 이 가까이 말라
近與不近 근여불근
所住者異 소주자이
近道昇天 근도승천
不近墮獄 불근타옥
도에 다가감과 멀어지는 것
그가 머무는 곳 서로 다르니
도에 다가간 이 하늘에 오르고
멀어진 이 지옥에 떨어진다
분노품(忿怒品) ①
忿怒不見法 분노불견법
忿怒不知道 분노불지도
能除忿怒者 능제분노자
福喜常隨身 복희상수신
분노하면 바른 법 보지 못하고
분노하면 바른 도 알지 못한다
분노를 능히 버릴 수 있는 이
복덕과 기쁨이 언제나 뒤따른다
貪음不見法 탐음불견법
憂癡意亦然 우치의역연
除음去癡者 제음거치자
其福第一尊 기복제일존
음욕을 탐하면 바른법 보지 못한다.
걱정많고 어리석은 마음도 그러하다
음욕과 어리석음 잘라버린 이
그 복이 제일 존귀하다
喪能自制 에능자제
如止奔車 여지분거
是爲善御 시위선어
棄冥入明 기명입명
성내는 마음 스스로 억제하길
내닫는 수레 멈추듯하면
그느 바로 훌륭한 조어장부
어둠에서 벗어나 밝음에 들리라
忍辱勝에 인욕승에
善勝不善 선승불선
勝者能施 승자능시
至誠勝期 지성승기
욕됨을 참아 성냄을 이기고
선한 행으로 악함을 이긴다
이기는 이 능히 베풀수있고
지극한 정성은 거짓 속임을 이긴다
不欺不怒 불기불노
意不多求 의불다구
如是三事 여시삼사
死則上天 사즉상천
속이지 않고 성내지 않고
마음으로 많은것 욕심내지 않으니
이와같은 세가지를 일삼으면
죽어서 곧 천상에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