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아하는 것 버리고 바른 것 따르면
호희품은 사람들이 얻고자 하는 여러 가지 즐거움을 막고 욕심내지 않으면 근심과 걱정이 없다는 것을 밝힌다.
好喜品者 禁人多喜 能不貪欲 則無憂患 호희품자 분인다희 능불탐욕 즉무우환
호희품.1장 도에 어긋나는 것은 따라서 행하고 도에 맞는 것은 스스로 행하지 않으면서 올바른 것을 버리고 좋아하는 것을 따르면 이것이 애욕을 따르는 행위이다.
違道則自順 順道則自違 捨義取所好 是爲順愛欲 위도즉자순 순도즉자위 사의취소호 시위순애욕
호희품.2장 사랑하는 사람에게 집착하지 말라. 미워하는 사람도 가지지 말라. 사랑하는 사람은 만나지 못해 걱정이고 미워하는 사람은 만나서 또한 걱정이기에.
不當趣所愛 亦莫有不愛 愛之不見憂 不愛見亦憂 부당취소애 역막유불애 애지불견우 불애견역우
호희품.3장 그러므로 사랑을 하지 말라. 사랑은 미움의 근본이다. 모든 집착을 끊어 없앤 사람에겐 사랑도 없고 미움도 없다.
是以莫造愛 愛憎惡所由 已除縛結者 無愛無所憎 시이막조애 애중악소유 이제박결자 무애무소증
호희품.4장 사랑의 기쁨 때문에 근심이 생기고 사랑의 기쁨 때문에 두려움이 생긴다. 사랑의 기쁨을 느끼는 대상이 없다면 무엇을 근심하랴, 무엇을 두려워하랴.
愛喜生憂 愛喜生畏 無所愛喜 何憂何畏 애희생우 애희생외 무소애희 하우하외
호희품.5장 좋아하기 때문에 걱정이 생기고 좋아하기 때문에 두려움이 생긴다. 좋아할 대상이 없다면 무엇을 근심하랴, 무엇을 두려워하랴.
好樂生憂 好樂生畏 無所好樂 何憂何畏 호락생우 호락생외 무소호락 하우하외
호희품.6장 탐욕으로부터 근심이 생기고 탐욕으로부터 두려움이 생긴다. 해탈하여 탐욕을 없애면 무엇을 근심하랴, 무엇을 두려워 하랴.
貪欲生憂 貪欲生畏 解無貪欲 何憂何畏 탐욕생우 탐욕생외 무소탐욕 하우하외
호희품.7장 법을 탐구하고 계율을 성취하며 지극한 정성으로 행하고 부끄러움을 알며 자신의 의무를 행하여 도에 가까워지면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는다.
貪法戒成 至誠知참 行身近道 爲衆所愛 탐법계성 지성지참 행신근도 위중소애
호희품.8장 욕망의 몸짓을 일으키지 않고 바르게 생각하고 나서야 말하며 마음에 탐욕과 애착을 없앤다면 반드시 생사의 물결 끊고 건너가리라.
欲態不出 思正乃語 心無貪愛 必截流渡 욕태불출 사정내어 심무탐애 필절유도
호희품.9장 오랫동안 길을 떠났던 사람이 먼 곳에서 무사히 돌아오면 친척들 모두 크게 즐거워하며 그가 돌아온 것을 기쁘게 맞이하네.
譬人久行 從遠吉還 親厚普安 歸來歡喜 비인구행 종원길환 친후보안 귀래환희
호희품.10장 즐거위 복을 짓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갈 때 스스로 자신이 지은 복을 받으니 친척들이 돌아온 사람 반기듯이 그를 맞이하네.
好行福者 從此到彼 自受福祚 如親來喜 호행복자 종차도피 자수복조 여친내희
호희품.11장 성스러운 가르침을 좇아서 행동하고 선하지 않은 것을 금지하고 도에 가까운 것을 사랑하는 사람을 보듯이 하고 도를 벗어난 것을 가까이 하지 말라.
起從聖敎 禁制不善 近道見愛 離道莫親 기종성교 금제불선 근도견애 이도막친
호희품.12장 도를 가까이했느냐 멀리했느냐에 따라 죽어서 머무는 곳도 다르다. 도를 가까이한 사람은 죽어 하늘에 올라가고 도를 멀리한 사람은 죽어 지옥에 떨어진다.
近與不近 所住者異 近道昇天 不近墮獄 근여불근 소주자이 근도승천 불근타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