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서(篆書) | |||
전서는 진한 이전의 서체를 통칭하는 말로써 갑골문, 은대의 금문, 대전과 진나라의 이사가 만든 소전 이 있다. 대전에는 석고문, 조초문이 있어며 소전에는 태산각석, 낭야대각석있다. | |||
갑골문(甲骨文) 갑골문은 귀갑, 수골문의 줄임말이다. 이러한 갑골문은 주로 길흉화복을 점쳐 그 점복의 결과를 기록하는데 쓰였다. 서법과 풍격은 대부분 곧고 날카로워서 금문(金文)의 고박(古撲)하고 둥근 풍모와는 다르다. 대체적으로 모가 나고 곧으며 가는 획이 많고 둥글고 굽으며 퉁퉁한 획은 적다. 이 갑골문은 서체상에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다는 점에 주의할 때 이 시대에 이미 글에 대해서 스스로 우러나는 미의식이 어느정도 앞서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의미에서 단지 중국최고(最古)의 문자일뿐만이 아니라 중국서도의 발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원시서도로 의의는 크다 하겠다. | 갑골문 | ||
금 문(金文) 금문은 금속제의 용기 ·악기 ·무기 ·화폐 ·인장(印章) ·경감(鏡鑑) ·조상(造像) ·범종(梵鐘) ·도량형 등에 주출(鑄出)되었거나 새겨진 문자로 종정문이라고 한다.동기에 문자를 기록하는 것은 상(商에서 한(漢)대에까지 이른다. 상대의 것은 그림문자도 많으며, 대개의 금문은 갑골문을 계승하고 진(秦)대의 소전(小篆)에 이어지는 대전(大篆)이다. | 금 문 | ||
석고문(石鼓文) 필획이 금문과 소전의 중간에 속하고 금문보다 규구(規矩)가 있고 소전보다 방편(方遍)하며 석고에 정열하면 위로는 금문으로부터 아래로는 소전에 까지 진수를 습득할 수 있다. 행필이 너무 빠르면 안되며 너무 늦어도 침체하여 수윤함을 얻지 못한다. 석고문은 글씨체와 형상이 매우 훌륭하다. 또 둥근 획이 많고 생동감이 넘치는 획으로 점철되어 있어 역대의 서예가들이 전석의 모범으로 삼고 있다. | 석고문 | ||
태산각석(泰山刻石) 진시황때 이사가 대전의 복잡하고 번잡한 획들을 간단하게 만든 글씨체의 하나로 낭야대각석과 함께 소전의 표준이라 할 수 있다. 소전은 형체는 둥글면서도 정제되어 있고, 둥글고 모나고 곧바른 획들은 모두 법에 맞으며, 붓을 씀에 마치 붓 속에 철을 품은 것 같으며, 붓은 움직임은 모난 것을 버리고 둥근획을 취하고 있다. 부드러운 가운데도 강함을 볼 수 있어 상쾌하고 굳건한 느낌을 준다. | 태산각석 | ||
낭야대각석(瑯牙臺刻石) 태산각석과 더불어 대표적인 소전이며 아름다운 곡석으로 강력하게 표현되어 있다. 제왕의 위엄을 나타내기에 걸맞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
출처-서도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