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의 특징

먼저 글자를 쓰는 것으로써 서예술이 성립된다. 점과 선의 구성과

비례 균형에 따라 공간미(空間美)가 이루어진다. 필순(筆順),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성된다. 필순에 따른 운필의 강약 등으로 율동미가 전개된다. 자연의 구체적인 사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글자라는 추상적인 것을 소재로 한다. 먹은 옛날부터 오채(五彩)를 겸하였다고 하며 검정색이지만 농담(濃淡)·윤갈(潤渴)·선염(渲染)·비백(飛白) 등이 운필에 따라 여러 색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영묘(靈妙)한 결과를 낳는다.

다른 예술 분야들이 밖으로 향하는 힘의 방향을 지니고 있다면 서예는 안으로의 끝없는 세계로 파고드는 예술이다. 따라서 다른 예술 분야는 낭만파 고전파 등의 시대사조들이 패러다임 교체의 방법으로 격렬히 변해온 반면, 서예는 수천년의 역사를 두고 매우 완만하게 혁명적 변화 없이 발전해 왔다.

서예는 주변적인 수많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으며 그 요소들과 분리시켜 생각하기란 불가능하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주변적인 요소란 작자의 상황이나 인격, 쏟아 부은 노력 등을 들 수 있다. 인격과 분리된 서품은 아무리 그것이 뛰어나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 사람이 지니는 연륜이나 인생 경험 따위가 '경력'보다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서예의 미적 요소에는 다른 예술에는 없는 중요한 한 가지 요소가 추가되는데 그것이 바로 서예 작품에 쓰인 문자의 뜻이다. 석고문에서 낚시하는 내용이 나올 텐데 이 부분에서의 주요 포인트는 '물 수(水)'자이다. 전서의 상형자는 대부분 그렇듯이 써 놓은 그 자체가 물이 흐르는 느낌을 주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분위기는 전체가 물 흐르는듯한 느낌을 주게 써야 좋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고구려 광개토대왕비의 내용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만주 벌판을 정벌하던 내용이 있다. 그런데 이것을 쫀쫀한 전서로 썼다고 하면 어떨까. 따라서 광개토대왕비는 호방한 글씨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말한 서예의 특징을 알고 그 후에 글씨를 쓰는 법을 베우는 것이 순서라 할 수 있겠다.

'서예를 배워 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書藝作品은 어떻게 感想하여야 하는가?  (0) 2007.03.01
서예를 배움의 자세  (0) 2007.03.01
書藝  (0) 2007.03.01
필력이란  (0) 2007.03.01
인내  (0) 2007.02.26
Posted by 부비디바비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