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서예에 처음 입문하는 분들을 위해 간추려 놓은 기본실기 입문서입니다. 학습편의를 위해 아주 간단 명료하게 편집한 관계로 서예를 우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지만 간단한 만큼 부족된 부분도 많으니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시중의 각종 출판물등을 통하여 보충하면 좋을 것입니다. | |||||||||||||||||||||||||||||||||||||||||||||||||||||||||||||||||||||||||||||||||||||||||||||||||||||||
편집에 들어가면서 이 자료는 서예에 처음 입문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안내하기 위하여 편집한 자료이다. 한글,한자의 모든 서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원칙을이론과 실기 부분으로 구분하여설명하였다.자세한 설명이 오히려초학자에겐 서예를어렵게 느끼게할수도 있으므로 되도록쉬운 말로 간략히 정리하였기 때문에 너무개괄적이어서 흠이 되긴하나 부족한 부분은 실기연습 도중 질의응답과스스로의 터득에 의해 보충한 후 한 단계 더 자세한 서적을 읽어보면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서예는 예술인 관계로 최선의 필법이 단 한가지로 정해져있는것이 아니라 쓰는 이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여기 소개하는 필법은 여러 서예교육자들의 꾸준한 연구와 경험을바탕으로 많은서예가들에 의해 검증된 필법으로써 서예 교육계에서 비교적 널리 통용되고 있는 필법인 바,충실히 익히면 힘과 기교가 어우러진 글씨를 쓰는데 큰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나,이와 다소 차이가있는 필법 중에서도 배울만한 필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타필법을 배척하는 것은 금물이다. 단지 시중에는 전절법(轉折法),중봉(中鋒)등을 도외시한 전래(傳來)의 근거없는 속서(俗書) 필법이 아직도 성행되고 있는 바,배우는 이들은 이에 유의하여 옥(玉)과 석(石)은 분명 차이가 있음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이태리의 거장 미켈란젤로가 크나 큰 대리석에 다윗상 조각을 거의다 마칠 때쯤 사람들은모두 다 찬탄하며 이 대 예술품의 탄생을 고대하고 있었다. 이때 지나가던 한 허름한 사나이가 작업현장을 힐끗 쳐다보고는 대수롭지않게 하는 말, 그렇다.서예를 할 수 있는 자질도 원래 누구나 몸속에 가지고 있는것이다. 단지 그것을 싸고있는 껍질을 어떻게 벋겨내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일 뿐이다.우선 쓰기 시작하고 볼 일이다. 케케묵은 껍질을 하나씩 하나씩걷어내면 돌속의 다윗상처럼 당신의 서예자질은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丙子年 초여름 | |||||||||||||||||||||||||||||||||||||||||||||||||||||||||||||||||||||||||||||||||||||||||||||||||||||||
| |||||||||||||||||||||||||||||||||||||||||||||||||||||||||||||||||||||||||||||||||||||||||||||||||||||||
제1장 서체학습의 순서 1. 한글서예,한문서예, 어느 것을 먼저 배울 것인가? (1) 서예도 탈장르 현상을 보이고 있다. (2) 한문서예를 먼저 배우는 것이 유리하다. 2. 한문서체의 학습순서 (1) 서체의 학습순서는 없다 (2) 전서를 먼저 학습하는 이유 (3) 예서를 먼저 학습하는 이유 (4) 해서를 먼저 배우기는 까다롭다. | |||||||||||||||||||||||||||||||||||||||||||||||||||||||||||||||||||||||||||||||||||||||||||||||||||||||
| |||||||||||||||||||||||||||||||||||||||||||||||||||||||||||||||||||||||||||||||||||||||||||||||||||||||
제3장 기초실기연습
|
출처:다음 카페 서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