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문자의 변천
중국문자의 발전에 대해서는 논자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두가지 견해를
살펴보면 林尹와 潘重規의 한자의 변천의 이론을 정립할수 있다.

1) 갑골자
중국문자의 기원은 약 5천년 전으로 추정하난 비교적 성숙된 문자는 3400여년전
갑골문자에서 시작한다.
이것은 殷에서 周까지 제작된것으로 동물의 뾰족한 이빨이나 옥,동으로 만든 칼로
龜甲(거북이의 등과 안)과 獸骨(소의 어깨뼈)위에 새긴 문자이다.
주로 내용이 제사,전쟁,수렵,여행,질병,폭우,길흉등 자연현상과 인사에 관련된 기록
인점에서 그용도는 제사나 점복에 있었던것으로 알려졌다.
배열은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되어있으며, 현재까지 발굴된 갑골중 기재된 자수
는 1백만을 넘지만 單字(하나의 부수로 이루어진 글자)는 4600여개, 해석가능한 것은
1천여자에 불과하다.
한편 글자의 형태는 상형자가 많고 모양은 비교적 고정되지 않았으며, 곡선보다 직선이
많다.
2) 금문
금문이란 주대이전에 이기,악기,병기,도량형,거울,화폐,인장등의 각종 기물에 새겨진
글자를 말한다. 주대와 주대이전의 금문으로 현재 해석되는것은 188여자이고, 秦,漢의
금문으로 해석가능한 것은 1000자정도이다.
글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2cm의 정사각형이나 타원형이고, 배열은 위에서 아래로,
우에서 좌가 전형이다.
毛公鼎,小盂鼎,散氏鼎등에 4-5000자가 있다.
3) 주문(大호)
춘추시기로 넘어오면서 화폐,죽간,면폐,칠기가 갑골,우골,청동기를 대신하게 됨으로서
자연서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대전'의 시작은 이러한 서체의 변화속에서 찾아볼수 있는데, 그 정의와 기원에 대해서는
학설이 분분하다. 대체로 전국시기 楚,燕,齊,韓,1魏,趙등 각국의 상이한 '六國古文'을 秦이
체계화한것이 이라는 주장이 보편적이다.
주문의 특징은 王國維의 평에 의하면 "대개 좌우가 균일하고 조금은 번잡하고 복잡하다."
현재 전하는 주문으로 가장 믿을만한 것은 [說文,重文]에 있는 주한 225자와 石鼓文 이다.
석고문에는 10개의 북모양의 돌덩어리 위에 고문자가 새겨져 있다.
元대에 북경의 孔廟에 방치한것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4) 전문
5) 예서
6) 초서
7) 해서
8) 행서

2. 대표적인 서예가
중국의 서예를 대표하는 무수한 서예가가운데 단연 晉의 王羲之와 王獻之 부자가 최고의
자리에 있다. 진의 서예는 주로 진,한을 계승했으나, 왕희지의 [蘭亭敍]는 독특한 행서의
경지를 개척한 천하일품으로 손꼽힌다.

남북조는 남과 북이 서로 다른 대조를 보엿는데 '北碑南帖'이라하여, 남방은 서첩에 행,초서를
위주로 했고 북방은 주로 비석에 웅혼하고 소박한 예서와 전의를 남겼다.
서예가로는 羊欣,蕭子雲,鄭道昭등이 있고, 庾肩吾의 [書品]은 서예이론서로서 주목을 받았다.

당대는 태종과 현종의 애호로 서예가 크게 발전했다.
虞世南,毆陽詢,猪遂良,顔眞卿등 사대가 외에 張旭,懷素,柳公權등이 대가의 반열에 오른다.

송대는 휘종,고종등의 애호로 당대의 성황을 이었다.
즉 자유분방과 개성을 살린 서예가들이 많았고 '意境'을 중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자체는 주로 서첩에 편리한 행,초서가 많았으며, 대표적인 서예가로는 蘇東坡,黃庭堅,米불,
蔡襄등 4대가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있었다.

원대는 趙孟부의 '松雪體'가 세상을 풍미하여 명대까지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명대는 초기 조맹부의 영향아래 있다가 복고적인 풍조를 타고 당,송의 서예를 배우는것으로
전환하였다. 대표적인 서예가로는 董基昌과 文徵明,祝允明,宋克등이 있다.

청대의 서예에는 옹방강이 송,원,명의 서풍을 계승한 흐름과 沈筌,査昇등이 동기창과 미불을
배웠던 흐름, 그리고 張照,劉埇등이 구양순,안진경,조맹부,동기창을 배우던 흐름, 마지막으로
趙之謙,李瑞淸등이 비학연구를 통해 고문자를 배우고 학습하는 복고의 흐름드이 있었다.

출처:다음카페 서예세상

'서예를 배워 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예 관련 사이트  (1) 2007.03.08
서예 작품은 어떻게 감상하여야 하는가?  (0) 2007.03.08
먹에 대해서  (0) 2007.03.08
문방사우  (0) 2007.03.08
서예용어 연구  (0) 2007.03.08
Posted by 부비디바비디
,